작곡미디를 입문하실 때 현재 출시된 작곡프로그램(DAW)이 종류가 많은 만큼 어떤 시퀀서 즉 어떤 음악작곡프로그램(Digital Audio Workstation)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지 선택하기가 쉽지만은 않습니다.
그래서 잘 알려져 있는 큐베이스를 비롯하여 로직프로, 에이블톤, 프로툴, FL스튜디오, 리퍼에 대해 포스팅해보려고 해요.
1. 큐베이스 (CUBASE)
독일 Steinberg사에서 제작하여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작곡프로그램입니다.
강점 | 약점 |
- 윈도우(Window)와 맥(MAC) 둘 다 사용이 가능 - 한글지원은 없지만 국내 사용자가 많아 접근성 용이 - 배울 수 있는 곳이 많음 ( 관련 커뮤니티 많음 ) - 편집이 빠름 - 단축키 직접 설정이 가능함 |
- Cubase9버전부터는 32비트 Plug-in 지원이 종료됨 -기본 내장 가상악기로는 약간 부족한 감이 있음 -불편한 인터페이스 - 0.5버전은 한시적으로 무료 업데이트가 가능하나 앞 자리숫자의 버전 업데이트 시에는 유료 - 가격이 비쌈 |
2. 로직프로 (Logic Pro)
로직프로 작곡프로그램은 애플사에서 인수하여 배포한 로직프록는 역사 오래된 시퀀서 중 하나입니다. 방대한 라이브러리와 퀄리티 높은 내장악기로 다른 가상악기를 추가할 필요가 없을 정도예요. 해외 유명한 프로듀서들에게 가장 큰 인기가 있다고 합니다.
강점 | 약점 |
- 초보자 사용하기 좋음 - 고퀄리티의 내장 가상악기 (최고!) - 가상악기 정렬이 잘 되어 있어 무척 편리 - 인터페이스가 매우 직관적이여서 미디 작업이 편함 - 한번 구매하고 나면 추후 업데이트 무료 - 가격 비교적 저렴 |
- 맥(MAC) OS만 사용가능 - 오디오 편집이 비교적 직관적이지 못함 - 영어강좌는 많지만 한국어로 된 자료가 많지 않음 |
3. 에이블톤 라이브 (Ableton Live)
독일 에이블톤 AG에서 개발했으며 요즘 많은 유명 아티스트들이 사용하는 작곡프로그램(DAW) 중의 하나이기도 합니다. 세션 뷰(Session view)라는 새로운 UI를 제공하여 라이브 연주에 보다 탁월합니다.
강점 | 약점 |
- 윈도우(Window) 맥(MAC) 둘 다 사용가능 - 입문용으로 적합 - 사운드와 믹싱 위주의 작업 시 편함 - 독립적으로 컨트롤이 가능한 세션 뷰(Session view)를 제공 하고 있어 실시간 라이브에 특화되어 있음 - 특히 오디오 편집 기능에 특화 - 일렉트로니카, EDM 음악에 강점 |
- 다른 DAW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불편함 있을 수 있음 - 가격이 다소 비쌈 |
4. 프로툴 (Pro tools)
프로툴 작곡프로그램은 인터페이스가 무척 직관적이여서 업계 표준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많은 스튜디오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.
강점 | 약점 |
- 녹음 및 믹싱이 상당히 안정적임 - 배우기가 쉬움 |
- 가격이 비쌈 |
5. FL스튜디오 (FL Studio)
FL스퓨디오 작곡프로램은 벨기에 Image-Line사에서 제작한 시퀀서로 1997년도에 출시되었습니다.
강점 | 약점 |
- 윈도우(Window) 맥(MAC) 둘 다 사용가능 - 사용자가 많아 정보가 많음 유튜브 한국어 고퀄리티 강좌 다양 -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( 다른 DAW와 기능이 비슷 ) - 퀄리티가 괜찮은 기본 내장악기 수가 많은 편임 - 일렉트로니카, EDM, 힙합에 강점 - 4가지 종류의 합리적인 가격대 - 평생 업데이트 무료 |
- 단순한 녹음, 실제 연주에는 적합하지 않음 |
6. 리퍼 (REAPER)
리퍼는 무료 작곡프로그램(DAW)이라는 오해가 있습니다. 그도그럴것이 60일의 체험기간이 지나도 사용에 아무런 제한이 없습니다. 그러나 공식적으로는 구매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습니다.
강점 | 약점 |
- 윈도우(Window) 맥(MAC) 둘 다 사용가능 - 오디오 작업에 있어 휴대용으로 최고임 |
- 기본 제공 가상악기 없음 - 사용자가 많지 않음 ( 정보를 구하기가 어려움 ) - 가격이 저렴함 |
끝으로 요즘 대부분의 작곡프로그램(시퀀서)은 인터페이스의 측면에서 조금의 차이가 있을뿐 무엇이 좋다 나쁘다라고 평가하기가 어렵습니다. 사용자가 처음에 어떤 인터페이스에 익숙해지는가가 더 중요해요.
저는 위의 프로그램 중 아직까지는 큐베이스만 접해 보았답니다. 기회가 되면 다른 시퀀서들도 다뤄보고 싶네요.~
미디작곡을 시작함에 있어 이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래요.^^
'홈레코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국악 가상악기 다운로드 (0) | 2022.07.18 |
---|---|
모니터링 헤드폰 추천 - DT 770 PRO (0) | 2021.05.06 |
무료 가상악기 사이트 추천 - LABS (0) | 2020.03.06 |
악보프로그램/사보프로그램 종류 (3) | 2020.03.05 |
무료 작곡 프로그램(DAW)의 종류와 장단점 (1) | 2020.03.03 |
댓글